해남 9

545. 해남. 정운 충신각

545* 전남 해남군 옥천면 대산리 산 19. 해남여행때에 찾이뵌 정운장군의 충신각이 누락된것을 발견했다나대용과 함께 이순신장군의 휘하에서 임진. 정유전란을 승리로 이끈 정운장군. 정운 1570년(선조 3) 28세로 무과에 급제한 뒤 훈련원봉사·금갑도수군권관(金甲島水軍權管)·거산찰방(居山察訪)을 거쳐 웅천현감 등을 지냈으나 성격이 강직하고 정의를 지켰기 때문에 미움을 받아 몇 해 동안 벼슬을 하지 못하였다. 1591년 녹도만호(鹿島萬戶)가 되고,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이순신(李舜臣) 휘하에서 군관 송희립(宋希立)과 함께 결사적으로 출전할 것을 주장하였을정도로 군인다운 군인이었다.그 뒤 옥포(玉浦)·당포(唐浦)·한산 등의 여러 해전에서 큰 공을 세우고,마침내 9월의 부산포해전에서 우부장(右部將)으..

538. 해남. 황조별묘

538.* 전라남도 해남군 산이면 덕송리 378-1 (황조마을 317) 전라의 평야가 평화로움이 이런것이다라는것을 보여 주는 풍경이지만 왜놈들이 이 평야를 짓밟고 들어오니 때는 임진년이었더라사람들은 그 전쟁을 임진왜란이라고 하고 정유재란이라고도 한다.7년의 전쟁사에 남아 있는 기록중에세계 해전사에 길이남을 이순신장군의 연전연승의 신화만 기록이 아니다.뒹국인간 진린이라는 인물은 어떤인간인가?유독 전쟁사에 남은 구원군의 오만함과 횡포의 이름으로 기억되는 그 이름이 진린이다.진린은 중국 광동성 운부시 출신이며, 정유재란 때인 1598년 5,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고금도의 이순신과연합전선을 형성하여 노량해전에서의 승리를 함께했다는 중국인이다.진린은 성질이 사나워서 남과 부딪치는 일이 많았으므로 사람들이 다 ..

516. 해남. 전라의 맛 .

516* 전남 해남군 북평면 남창리 아래 사진의 그림을 따라가다 보면 남창리라는곳이 나온다. 인간의 맛 본능에다섯 가지 맛. 즉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매운맛을 통틀어 이른다.이 맛이 오행의 맛이기도 하다신맛은 木... 대표적 장기로는 간에 해당한다. 쓴맛은 火...대표적 장기로는 심장이 되고단맛은 土... 대표적 장기로는 위가 되고매운맛은 金... 장기로는 허파가 되며짠맛은 水... 대표적 장기로는 콩팥이 된다고 알고 있다각기 그 고유한 맛은 그에 해당하는 장기에 손익을 끼친다고 한다.탤래비에는 맛을 가지고 먹방을 늘어지게 하기도 한다.돼지와 유사하게 생긴 게그맨들에게 게걸스럽게 먹이고는 찍어서 내 보낸다.하지만 나는 이 남도의 밥상의 오감을 느끼고 다섯가지 맛을 보았다오래도록 맛의 흥분을..

507. 해남. 대흥사.

507. * 전남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산 8-1 새벽잠을 걷어내고 찾아 들어간 대흥사. 두륜산 대흥사...대둔사(大芚寺)’라고도 하며,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이다. 2009년 12월에 사적 제508호로 지정되었으며, 2018년 6월에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고로콤 소개되어 있는 대흥사인데 내사 도통 그 내용을 알수 없다. 처음보는 것들인데 촛불등을 밝히는게 아닌가 싶다. 절집의 싱그러운 봄이다. 연리지나무가 아니고 연리근 나무이다. 뿌리가 하나로 붙어서 연리근이라 한다.뿌리가 만나면 연리근 가지가 만나면 연리지 줄기가 겹치면 연리목이라 한다. 두륜산은 대둔사(大芚寺)의 이름을 따서 대둔산이라 칭하다가 대둔사가 대흥사(大興寺)로 바뀌자..

506. 해남. 고산 윤선도

506.* 해남군 해남읍 녹우당길 135 사실 해남의 대표성씨라면 윤씨이다.그 이름을 가장 빛이나게 한 사람이 고산 윤선도가 아닌가 한다.해남 윤씨의 대표사위로는 정약용선생이고........덕음산 아래의 배단한 명당자리에 앉은 녹우당을 찾았더라.녹우당을 찾아간다. 녹우당은 일반에게는 고산 윤선도 고택으로 알려져있으나, 500여년 전 입향하여 본관을 얻은 어초은 윤효정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후 5대 윤선도(1587-1671), 8대 윤두서(1688-1715) 등 조선시대 인물들을 배출한 학문적, 경제적 명문가로 알려져 있다. 이 주택은 전남 지방에 현존하는 주택 중 가장 큰 규모로 1968년 12월 19일, 사적 제167호로 지정되어 있는 유서 깊은 고택이다.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를 썼다. 당시 어민..

505. 해남. 만의총

505.*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성산리 500-1 임진왜란 때 전라도 지역을 점령하지 못해 승리하지 못했다고 판단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7년 정유년에 대군을 편성해 다시 침공해 왔으며 먼저 전라도 지역을 공략했다. 일본군 우군(右軍)은 전주읍성을, 좌군(左軍)과 수군(水軍)은 남원읍성으로 진격했다.전라병사 이복남과 명나라 부총병 양호(楊鎬)가 이끄는 4천 명의 병사와 6000명의 남원읍성 주민들이 결사 항전햇으나 8월 16일 읍성은 함락되고 병사들은 전멸했다. 남원읍성과 전주읍성을 차례로 함락시킨 고니시 유키나가는 천량해전 이후 사실상 무력화된 조선수군을 완전히 궤멸시키고 전라도를 장악하기 위해 병력을 북쪽과 서쪽 양쪽에서 동시에 진군시켜 해남 우수영으로 향했다. 해남은 일본군 주력부대의 전..

504. 해남. 윤두서생가.

504.* 전남 해남군 현산면 백포리 372. 그사람이 그린 자화상이 국보이다.국보 제240호. 종이 바탕에 담채. 세로 38.5㎝, 가로 20.5㎝. 윤두서 자화상은 상용형식이나 표현기법 등에서 특이한 양식을 보인다 해서 국보가 된 것이리라.묘사된 안면은 윤두서의 자아인식의 수준을 보여 준다고 한다. 복사해온 그의 자화상이다그 양반이 살았다는 집을 찾았다.본관은 해남(海南). 자는 효언(孝彦), 호는 공재(恭齋). 1774년(영조 50)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 참판에 추증되었다.윤선도(尹善道)의 증손이자 정약용(丁若鏞)의 외증조이다. 정선(鄭敾), 심사정(沈師正)과 더불어 조선 후기의 삼재(三齋)로 일컬어졌다.윤선도와 이수광(李睟光)의 영향을 받아 학문적으로도 탄탄한 배경을 가진 인물이었다. 젊은..

503. 해남. 시인 김남주생가.

503.* 전남 해남군 삼산면 봉학리 535 그는 이곳에서 아버지 김봉수와 어머니 문일님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해남중학교를 졸업하고 광주제일고등학교에 입학했으나 입시 위주의 획일적인 교육에 반발하여 2학년 때 자퇴했다. 1969년 검정고시로 전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 입학했다. 김남주 시인의 생가 앞 풍경이다.1973년에는 『함성』의 맥을 잇는 『고발』을 제작하다가 체포되어 반공법 위반 혐의로 구속된다. 그는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복역중 8개월 만에 풀려나지만 전남대에서 제적된다8개월간 복역한 후 고향에서 농사일을 하면서 1974년 〈창작과 비평〉 여름호에 〈잿더미〉와 〈진혼가〉 등 7편의 시를 발표, 문단에 데뷔하였다. 1975년 '긴급조치 9호'가 발동되자, '시'와 '돌멩이를 든 데모대'로는..

394. 해남. 땅끝

394.* 전남 해남 송지면 송호리 새로 찾은 토말이다.토말은 땅끝마을의 다른 아름이다 백두대간의 시작이자 끝인 전라남도 해남 땅끝.한반도의 기가 가장 많이 뭉친 곳, 땅끝 그 이름만으로도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이사진은 10년전 방문시에 찍은것들이다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松旨面) 송호리(松湖里) 한반도의 최남단 마을.토말·갈두마을이라고도 한다. 북위 34°17'38"에 위치한다.해남읍 남쪽 43.5km 지점인 이곳은 함북 온성군 남양면(南陽面) 풍서동(豊西洞) 유원진(柔遠鎭:북위 43°0'39")과는 한반도에서 가장 긴 사선(斜線)으로 이어져, 극남과 극북을 이룬다 崔南善의 《조선상식문답》에 따르면, 땅끝의 해남에서 서울까지 1,000리, 서울에서 극북의 온성까지 2,000리를 헤아려, 이..